2023년 1월 16일 한국기문둔갑학술연구원 정기모임 공고입니다.
일시 : 2023년 1월 16일 16:00
장소 : 한국역술인협회 부산지부
[부산광역시 동구 범곡로 15(범일동) 옛고을 아파트 상가 1층 101호]
회비 : 15,000원
일정 : 16:00 기문연구모임 개요안내
기문특강 : 기문해단의 시작(바탕오국의 특성을 중심으로) (최상인 선생)
17:20 한국역리학회 특강(허영수 부산지부 회장)
주제: 적천수-출신편
18:00 한국역술인협회 2023년 1월 정기회의
18:30 저녁식사+쐬주한잔(한국역술인협회 부산지부에서 제공)
♤ 저녁식사 장소로 출발: 18시 30분(도보)
그림

三元局數 原理圖 (提案: 조현철)
三元局數 原理圖
坎(동소대)-冬至·小寒·大寒//艮(입우경)-立春·雨水·驚蟄
震(춘청곡)-春分·淸明·穀雨//巽(입소망)-立夏·小滿·芒種
離(하소대)-夏至·小暑·大暑//坤(입처백)-立秋·處暑·白露
兌(추한상)-秋分·寒露·霜降//乾(입소대)-立冬·小雪·大雪

六十甲子 三元(上·中·下元) 3秒 速見法
(提案: 조현철)
奇門遁甲의 六儀三奇 등의 포국을 위해 六十甲子의 三元을 빠른 시간 내에 계산하려면
계산하고자 하는 六十甲子의 地支를 아래의 기준으로 나눈다.
子午卯酉 = 上元
寅申巳亥 = 中元
辰戌丑未 = 下元
六十甲子의 天干이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지 구분해서 위의 기준에 추가하여
삼원을 정한다.
甲己丁壬 = 위의 기준 그대로
乙庚戊癸 = 위의 기준에서 한 계단 전진 上→中→下→上→中→下
丙辛 = 위의 기준에서 두 계단 전진 上→下→中→上→下→中
-----------------------
예를 들어 위의 계산을 적용해 본다.
戊戌-戌(地支)이 辰戌丑未에 속하니 기본은 下元이고
戊(天干)는 乙庚戊癸에 속하니 한 계단 전진하면
下元이 한 계단 전진하면 上元이 된다. 戊戌=上元
丙辰-辰(地支)이 辰戌丑未에 속하니 기본은 下元이고
丙(天干)은 丙辛에 속하니 두 계단 전진하면
下元이 두 계단 전진하면 中元이 된다. 丙辰=中元
乙卯-卯(地支)는 子午卯酉에 속하니 기본은 上元이고
乙(天干)은 乙庚戊癸에 속하니 한 계단 전진하면
上元이 한 계단 전진하면 中元이 된다. 乙卯=中元
丁巳-巳(地支)는 寅申巳亥에 속하니 기본은 中元이고
丁(天干)은 甲己丁壬에 속하니 전진 없이 위의 기준그대로 丁巳=中元.
'공지사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4월 17일 한국기문둔갑학술연구원 정기모임 공고입니다. (0) | 2023.04.10 |
---|---|
2023년 3월 16일 한국기문둔갑학술연구원 정기모임 공고입니다. (0) | 2023.03.07 |
2023년 2월 16일 한국기문둔갑학술연구원 정기모임 공고입니다. (0) | 2023.02.02 |
2022년 12월 16일 한국기문둔갑학술연구원 정기모임 공고입니다. (0) | 2022.11.25 |
한국기문둔갑학술연구원 모임이 결성되었습니다. (0) | 2022.11.25 |